-
2020년 자산 포트폴리오재테크/매일매일_재테크 2020. 1. 9. 07:00반응형
안녕하세요, 리치레몬입니다.
여느 해보다 더 힘차게, 여러 계획을 가지고 시작했던 2020년이 하루하루가 아직까지는 잘 가고 있습니다. 이웃님들의 1월은 어떠신가요? 조금 흐트러진 계획이 있더라도 매우 이른 시점이니, 다시 한 번 도전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Splitshire, 출처 OGQ 저는 다른 것보다 체력 증진을 위해 잠시나마 운동 하는 것을 목표로 넣었는데요, 22층까지 두 차례 계단 오르기 하는 것이 점점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이제 곧 3회로 늘릴 예정입니다. ^^
새해 목표에 재정 계획도 물론 들어가 있었는데, 올해 특히 아직 미정인 사항들이 있어서 '얼마를 모으겠다' 혹은 '얼마를 갚겠다' 또는 '집 한 채 사겠다' 이렇게 구체적으로 정하지는 못했습니다. 다만 한 해를 어떻게 꾸릴 지 후잉 가계부를 보면서 고민 중입니다.
PC나 모바일 기반으로 입력하는 가계부를 선호하시는 분이라면, 언제나 강추 드리는 복식부기 기반의 후잉 가계부입니다. 가입하면 누구나 6개월 체험이 가능하니 살펴 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https://richlemon.tistory.com/46
가계부 강력 추천합니다!
[ 리치레몬의 가계부 이야기 ] 제가 매일 올리는 가계부가 이틀간 뜸했는데요, 바쁘기도 했지만 무지출이었던지라 ^^;; 기록할 것이 없기도 했습니다. 오늘도 무지출 데이가 될 듯 하여 (좋은 거죠? ㅎㅎ) 블로그..
richlemon.tistory.com
신년 경제 트렌드를 살펴 보면 - 짧은 식견에서 비롯된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하기에 예측을 한다는 것은 일반 대중으로서 사실상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이미 확정된 빅 이벤트인 미국 대선과 미중 관계, 미국 증시의 활황은 계속 지켜봐야 할 것이고요. 멀리 갈 것도 없이 당장 국내 상황만 봐도 복잡하고 어지럽습니다.
12.16 대책 발표 이후 부동산은 가격대별 섹터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는 듯 합니다. 정부가 만들어 준 기준인 15억, 9억, 6억이 가격 평가의 잣대가 되고 있는데요. 15억은 상위급지 주택, 9억 중급, 6억 이하는 그 미만으로, 이제 9억 이하 주택들에게도 오를 수 있는 기회를 준 것 같습니다.
서울은 약보합, 수도권은 상승, 지방은 지역에 따라 완전한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을까요. 지금까지 느껴지는 지역별 분위기도 대략 그러한 듯 합니다. 청약 통장 가점이 낮아 당첨을 기대할 수 없으면서 아직 주택을 소유하지 않고 서울 수도권에 거주하는 무주택자 분들이 상승장 후반에서 피해를 보지 않으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드네요.
일단 부동산 분위기는 당분간 관망세가 지속되겠지만, 전체적인 국내 경제 지표는 매우 좋지 않습니다. 건설 분야의 부양 없이 경기 회복이 가능할지 염려됩니다. 이럴 때일수록 평범한 소시민으로서 안정적인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직장을 소중하게 생각해야겠습니다.
단, 거기서 그치지 말고 내 자산은 내가 불려야겠죠.
연초 주식 시장 분위기도 전체적으로 나쁘지 않은 듯 합니다. 코스피 지수 2100은 계속 넘기고 있고, 상한가 기록하는 대형주도 많고요.
작년에 미국 주식으로 수익을 보셨던 분들이 많으신데, 작은 금액이나마 분기별 혹은 월별로 배당을 받을 수 있는 배당주로 세팅하는 것이 완전히 대세로 굳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제 경우에도 공부할 겸 테스트 차원에서 소액으로 해 본 미국 주식 수익률이 괜찮은 상황인데요, 영원한 것은 없으니 끝없이 올라갈 리 없겠지요.
해외 주식에만 집중하지 않고 오히려 국내 주식을 적극 연구해야 할 시기인 듯 합니다. 버블을 조심하되, 버블 장세에서 유효한 기간까지는 버블을 탈 수 있는 능력도 키워야 할 테니까요.
개인적으로 지난 3년은 각종 은행과 증권사의 금융 상품을 여러 가지 가입해 보았고, 소액이나마 주식과 펀드에도 투자하며 많이 배웠던 시기였습니다.
이제 1%대 이자율을 제공하는 예금과 적금 상품은 서서히 비중을 줄여 본격적인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려 합니다. 전체적으로는 자산 중 부채 비율에 신경쓰면서, 수입만으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에 대해 깊게 고민할 예정입니다.
이웃님들의 2020년 투자 계획은 어떠하신가요. 무엇이든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
https://richlemon.tistory.com/73
가계부 쓰기 & 어플 추천
안녕하세요, 단계별 재테크 연재 중인 리치레몬 인사 드립니다. 줄여쓴다고 하는데도 워낙 내용이 많다 보니 시리즈가 길어지고 있습니다만, 이제 2단계인 가계부 쓰기는 서서히 끝이 보이는군요. ^^ 지난 포스팅..
richlemon.tistory.com
반응형'재테크 > 매일매일_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오픈(1/15~)_국세청 홈택스(손택스) (0) 2020.01.12 카카오뱅크 26주 적금 만기 (0) 2020.01.10 자녀 사교육비(=학원비) vs. 부모의 재테크 (0) 2020.01.08 가계부 & 대차대조표_2019년 4분기 & 연말 결산 (0) 2019.12.31 연말정산 소득공제 & IRP 추가납입 (1) 2019.12.26